티스토리 뷰
목차
부동산 거래는 큰 돈이 오가는 거래이다보니 투명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국토부에서는 실거래가격 신고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파트는 물론 단독/다세대, 오피스텔, 토지등 국토부 실거래가 조회 바로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실거래가 조회방법
국토부 실거래가 조회는 아파트는 물론 빌라,오피스텔,다가구등 여러가지 주택 유형에 따라 실거래가 조회가 가능합니다.
실제 거래가격을 통해 부동산의 시세의 오르내림을 확인할수 있고 이를 참고로 부동산거래에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국토부 실거래가 조회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실거래가 조회를 원하는 메뉴(예:아파트, 단독, 오피스텔 등)을 누릅니다.
- 지번주소나 도로명주소를 입력하여 조회하는 방법과
- 지도를 움직여 원하는 장소를 선택하여 조회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실거래가 신고대상
국토교통부에서는 부동산 거래 가격 및 거래 동향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부동산 거래신고제를 통해 수집된 실거래 자료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실거래가 신고대상은 매매공개 대상과 전월세 공개 대상으로 나뉩니다.
■ 매매 공개 대상
매매 실거래 공개는 2006년 1월부터 부동산거래신고 및 주택거래신고를 한 주택(아파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오피스텔, 토지, 상업/업무용, 공장/창고 등 부동산 및 2007년 6월 29일 이후 체결된 아파트 분양/입주권을 대상으로 합니다.
■ 전월세 공개 대상
전월세 실거래가 공개는 2021년 6월부터 임대차계약 신고를 한 주택(아파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 오피스텔) 및 2011년 1월부터 주민센터 및 일부 공개 가능한 대법원 등기소의 주택 확정일자 자료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실거래가 공개는 활용목적, 집계기준 및 관리범위 등이 한국 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 시스템(R-OME)에서 제공하는 부동산 거래현황통계와 상이하오니 활용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 실거래가 공개(RTMS) | 부동산거래현황통계(R-ONE) |
활용목적 | 실거래가 참고자료 제공 | 부동산 거래량 공표 |
집계기준 | 계약일 기준 | 신고일 이후 |
관리범위 | 매매거래 | 매매 이외 판결,교환,증여 등 |
공개기준 | 실시간 취합후 익일 공개 | 매월말 기준 취합 공표 |
실거래가 시스템
- 목적: 부동산 거래의 투명성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 제공 정보: 매매가, 전세가, 월세가 등 다양한 부동산 거래 정보를 포함합니다.
■ 주요 기능
- 간편 조회: 사용자는 원하는 지역과 기간을 설정하여 실거래가를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필터링: 지역, 거래 유형(매매, 전세, 월세) 등으로 세부 검색이 가능합니다.
- 통계 제공: 거래량, 가격 변동 등의 통계 정보를 통해 시장 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동향 정보활용
부동산 시장을 분석하는 데 실거래가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실거래가는 실제 거래된 가격 정보를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구체적인 방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실거래가 정보를 활용한 부동산 시장 분석 방법
1. 가격 추세 분석
- 가격 변화 추적: 특정 지역의 실거래가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간에 따른 가격 변화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상승세나 하락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이동 평균선 활용: 일정 기간의 평균 가격을 계산하여 가격의 전반적인 추세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지역별 비교 분석
- 지역 간 가격 비교: 실거래가 정보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지역의 가격을 비교하여 상대적인 가치를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할 지역을 선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유사 지역 분석: 비슷한 특성을 가진 지역의 실거래가를 비교하여 시장의 경쟁력을 분석합니다.
3. 수요와 공급 분석
- 거래량 분석: 특정 기간 동안의 거래량을 분석하여 수요와 공급의 변화를 파악합니다. 거래량이 많으면 수요가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공급 과잉 여부 판단: 실거래가와 거래량을 통해 공급 과잉 여부를 판단하고, 향후 가격 변동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4. 투자 수익률 계산
- 수익률 분석: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투자 수익률을 계산하여 투자 결정을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매입가와 현재 시세를 비교하여 수익률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 비교 분석: 다른 투자처와의 수익률을 비교하여 부동산 투자에 대한 매력을 평가합니다.
5. 시장 예측
- 예측 모델 구축: 실거래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모델을 구축하여 향후 가격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한 고급 방법입니다.
- 경제 지표와의 상관관계 분석: 경제 성장률, 금리 등과 실거래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시장의 방향성을 예측합니다.